전체 글 1187

자녀가 '돈'을 알기 시작했을때...

애가 돈(money) 개념을 알기 시작했다. 최근 본인 지갑, 본인 돈 이라는 개념이 생겼고 무언가 가지고 싶을때 자기 돈으로 살 수 있다는 개념이 생겼다 (ㅜㅜ 다 컸구나) 돈에 대한 가치는 알았으나 아이가 돈을 벌 수 있는 길은 어른들에게 받는 것 뿐이다. 아이가 돈을 벌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게 하면 좋을까? 현재까지 떠오른 아이디어는 -자격증 (한자 등) -책읽기 -방정리

자녀교육 2022.02.12

요즘 당근마켓 (feat. 초딩 포켓몬 카드)

요새 당근마켓에 포켓몬 카드가 종종 보인다. 우리(?)가 어렸을때 보던 포켓몬을 아직도 보고 있다고 ????? (부럽다 포켓몬 작가 ㅜㅜ) 아무튼 포켓몬 카드를 왜 팔게 됐는지 물어보니 고학년이 되면 포켓몬이 재미가 없어져 포켓몬 카드를 안하게 된다고 하더라 그러나 저학년들은 여전히 포켓몬을 갖고 싶어하므로 이렇게 팔면 돈이 쏠쏠하게 생긴다는 것이다. (구매자는 대부분 초딩 부모들이라고 함) 이 얼마나 똑똑한 고학년?인가... 심지어 주식까지 하는 초딩들도 있단다 ㄷㄷㄷ 영상통화, 드론 같은 기술이 너무나 자연스럽고 해외 여행이 일상이며 운전면허를 따기 전에 자율주행차도 타게될 지금의 초등학생들이 자라게 되면 어떤 젊은세대 문화가 나타나게 될까?

회사를 꼭 다녀야 하나요?

회사 생활 10년 정도, 투자는 꾸준히 해오다가 올해 안식년을 위한 휴직을 시작했습니다. 투자에 어느 정도 속도도 붙었고 이젠 나와서 시간을 더 많이 투자를 하면 더 많은 투자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거든요. 물론 올해 코로나가 풀릴 것으로 예상하고 가족들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려는 목적도 있었고요. 근데 웬걸 밖은 너무 춥네요. (투자자님들 사업가님들 존경합니다 ㅜ.ㅠ) 약 10년간 집고양이로 살다가 갑작스레 길고양이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기존에는 집사가 사료도 주고 시간 될 때는 가끔 사냥도 하고 했는데, 쓰레기통 뒤지고 사냥만 하고 살려니 힘듭니다. 저는 다시 복직을 할 것이지만, 향후 길고양이로 살 수 있는지에 대한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몇 가지 느낀 바를 공유드립..

생활의 지혜 2022.02.11

(학벌사회) 어느날, 사람들 머리위에 학벌이 보이기 시작했다.

출처 : 인터넷 유머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미 허드슨 교수 "어떠한 물리적 이론으로도 설명 불가능..." 잇따른 혼란에 정부 "원인규명 및 사태파악 중" 대치동 학원가 등록생 폭발적 증가 올해 수능 응시 희망생 600만명 돌파할 듯 중장년층 재수생도 늘어나 어느 날 갑자기, 세상에 한가지 변화가 생겼다 모든 사람들의 머리위에 글자가 나타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12학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5학번] ...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질인지 애초에 물질인지 아닌지도 규명되지 않은 글자가 사람들의 머리위에 나타났다 글자에는 그 사람의 학벌이 그대로 쓰여있다. 게다가 학번까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미국, 러시아 등 전 세계에서 각 나라의 언어에 맞춰 글자가 생겼다. 전세계를 뒤덮은 건..

웃자웃자 2022.02.11

여당 vs 야당 난타전 때문에 힘드시죠?

대선을 코앞에 둔 지금 여당 야당 비리(?)가 너무 많이 나와 힘드시죠? 그건 당신이 여당 또는 야당을 무조건 지지해서 그렇습니다. 합리적 중도들은 지금 이 상황이 짜증나긴 하지만 너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팽팽한 지지율이 아니었으면 이 모든 비리들이 흐지부지 다 덮였을 테니까요 누가 대통령이 되든 탈탈 털릴 각오는 하고 계세요 그리고, 부정선거니 뭐니 지랄하지 마시고 선거 결과에 승복하세요.

(저학년)수학 - 암산은 절대 금물

초등학교 저학년때는 절대 암산을 해서는 안된다. 저학년때 수학은 머리로 푸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푸는 것이다. 손으로 푸는 습관을 만들어줘야 한다. 덧셈, 뺄셈을 암산으로 하는 아이들은 결코 이 편안함에서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다. 이게 습관이 되면 손으로 푸는 수학(방정식 등)을 매우 힘들어할 수 밖에 없다. 결국 중학교에 가서 고차방정식, 인수분해 할때 수학 포기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자녀교육 2022.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