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법 2

학벌만 중시하는 국민 vs 노력 없이 사는 국민

출처 : 인터넷 떠도는 글 나랑 친하게 지내는 사람 2명이 있다. A는 무조건 보수당만 찍고,B는 무조건 진보당만 찍는다. 그 친구들의 얘기를 가만히 들여다 보면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A는 항상 "서울대! 서울대!" 거리면서학벌을 엄청 따진다.그런데 A의 학벌도 나쁘지 않다.도대체 A는 왜그렇게 학벌을 따질까? A는 학창시절 성적에 대해 엄청난 압박을 받았다.말이 좋아 압박이지 학대에 가까웠다. A는 성적이 좋아야만 성실하다고 생각하고,이들이 누구보다 잘살아야 된단고 생각한다. 성실해서 성적이 좋은 사람도 있겠지만타고나서 성적이 좋은 사람도 있다. 공부 잘하는 것은 선천적(유전)인 것이다대한민국이 고쳐야 할점 중 하나는"공부 잘하는 사람만 너무 대접해준다"는 것이다.원시시대 : 육체적으로 강한 사람이..

우리나라 교육을 개혁하려면, '교육법'이 아닌 '노동법'을 바꿔야 한다.

우리나라 교육을 개혁하려면 교육법이 아닌 노동법을 바꿔야 한다. 학벌 안좋아도 열심히 노력하면 대기업에서 버틸 수 있게하고 명문대 나와도 빌빌대면 바로 해고할 수 있게 하면 된다. 명문대 출신으로 배우는 능력이 뛰어난데 노력까지 하는 사람은 임원 시키면 되고, 학벌이 낮고 배우는 능력도 떨어지는데노력도 안하는 사람은 평생 계약직, 허드렛일 시키면 된다. 누구나 쉽게 취업할 수 있게,그러나 못하는 놈, 게으른 놈은쉽게 해고되게 노동법을 바꾸면 사교육이 달라질 것이고,결국 교육제도가 개선될 것이다.  고용 안정성이 보장되는판사, 검사 등 공무원들의 무능함은 고용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국회의원들이 정화해주면 되는건가?  같이 읽으면 좋은글 김제동 vs 서장훈교육에 진심인 부모들이왜 학군지를 가는지 아세요?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