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도 마찬가지
E(50%)+I(50%) 를 중심으로
E(10%)+I(90%), ..., E(40%)+I(60%),
E(60%)+I(40%), ..., E(90%)+I(10%)
이런식으로 넓게 퍼져 있을거임
즉, 나는 E와 I가 섞였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나는 완전 E야(또는 I야) 라고 느끼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을 것임.
그러니 위 이미지에 공감하는 사람이 많을수밖에
모든 사회 현상은 통계에 기반한다. (feat. 정규분포)
대부분의 사회현상은 정규분포를 따른다. 어떤 것에 대한 사람들의 행동값이 100 이라는 평균값이 나왔을때 수천만명의 개개인이 행동하는 값은 99.9, 99.8, 100.1 100.2, 이렇게 미세한 차이로 다양하
under10.tistory.com
'주저리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Q 높은 사람들 특징 (0) | 2023.04.18 |
---|---|
앞차가 유난히 브레이크를 자주 밟는 이유 (feat. 양발운전) (1) | 2023.04.16 |
대한민국 시골 아파트 현실 (외국인 거주 비율) (0) | 2023.04.03 |
선진국 예금자 보호 한도 (0) | 2023.03.06 |
중국차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 (feat. 시내 전기버스)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