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인터넷 떠도는 글
대한민국 의료보험 제도의 우수성으로
부담없이 병원에 방문할 수 있는 것은 좋다만
툭하면 응급실에 가거나 약을 타는 부작용이
건보 재정을 악화시키고 있다.
건보 재정 건전성을 위한 아이디어로
-단순 질병은 건보 지원 배제
-(차량 보험처럼) 사용률에 따른 보험료 증액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 나는 여기에
<성분명 처방>이라는 아이디어를 추가하고 싶다.
성분명 처방이란?
의사는 성분명만 처방하고 (특정제품 처방 불가)
환자는 동일 성분의 약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도이다.
성분은 같은데 브랜드에 따라 약 값이 다르므로
환자는 본인 판단하에 원하는 약을 선택하고
정부는 약에 따라 건보 지원에 차등을 두면 된다.
건보 지원이 적어도 비싼 약을 사는 환자에게는
건보 재정을 아낄 수 있고,
의사가 처방한 비싼 약을 억지로 사온 환자들은
동일 성분의 다른 약을 싸게 살 수 있다.
의사들이 약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이 약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니
제약회사는
의사들에게 리베이트(뇌물)를 안하고
환자들에게 리베이트(가격경쟁) 하게 된다.
'대통령으로서 알아야 할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feat. 언론개혁) (0) | 2025.10.03 |
---|---|
만족(보수) vs 불만(진보) (3) | 2025.08.16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국회의원이 되어야 한다. (0) | 2025.01.05 |
역대 영부인 중에 이렇게 아름다운 분이 있었습니까? (feat. 윤상현) (1) | 2024.12.25 |
독일처럼 다수가 정치에 참여하도록 해보는 건 어떨까? (1) | 2024.12.10 |